지적장애 정의
지적장애의 정의는 대표적으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정의,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미국 지적 및 발달장애협회의 정의가 있다.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정의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지적장애를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2)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1) 지적장애(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① 지능지수가 35 미만인 사람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이 현저하게 곤란하여 일생동안 타인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
② 지능지수가 35 이상 50 미만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감독과 도움을 받으면 복잡하지 아니하고 특수기술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
③ 지능지수가 50 이상 70 이하인 사람으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3) 미국 지적 및 발달장애협회의 정의
: "지적장애는 지적 기능과 개념적, 사회적, 실재적 적응기술로서 표현되는 적응행동 양 영역에서 유의한 제한성을 가진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장애는 18세 이전에 시작된다."
(1) 적응행동의 정의
● 적응행동은 사람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기능하기 위해 학습하여 왔던 개념적·사회적·실제적 기술들의 집합체다.
● 적응행동에서 제한성은 일상생활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삶의 변화 및 환경적 요구에 반응하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 적응행동에서 제한성은 지적 능력, 참여·상호작용·사회적 역할, 건강, 맥락의 네 가지 차원의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지적장애 진단의 경우, 적응행동의 제한성은 장애인과 일반인이 포함된 일반 모집단을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진단하게 된다.
※ 이러한 표준화된 측정에서 적응행동에서의 유의미한 제한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개념적,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행동의 세 가지 유형 중 하나가 평균 이하, 혹은
② 개념적, 사회적 및 실제적 기술들의 표준화된 측정 도구로 전반적 점수가 평균보다 적어도 2 표준편차 이하의 수행으로서 조작적으로 정의된다.
(2) 개념적,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기술의 예
① 개념적 적응기술
● 언어(수용과 표현 언어)
● 읽기와 쓰기
● 금전 개념
● 자기 지시
② 사회적 적응기술
● 대인관계
● 책임감
● 자존감
● 속기 쉬움
● 규칙 준수
● 법률 준수
● 희생되는 것을 피함
③ 실제적 적응기술
● 일상생활 활동
- 먹기, 이동, 화장실 이용하기, 옷 입기
● 일상생활의 도구적 활동
- 식사 준비, 가사, 교통, 약물복용, 금전 관리, 전화 사용
● 직업기술
● 안전한 환경의 유지
지적장애의 분류
지적장애의 분류는 지적 정도에 따른 분류와 지원의 강도에 따른 분류가 있다. 과거에는 지적 정도에 따른 분류를 하였다가 지능 지수에 의한 분류를 삭제하고, 적응기술 영역에서 개인이 필요로 하는 지원의 강도에 따라 분류를 새롭게 하였고 최근에는 다시 분류체계를 수정하여 지원 강도, 지능지수 범위, 적응행동의 제한성, 원인론, 정신건강 범주 등에 의해 분류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이유는 다양하게 적용하는 목적에 따라 지능지수에 의한 분류와 강도에 따른 분류를 함께 사용한다.
1) 지적 정도에 따른 분류
(1) 과거 지능 지수에 따른 지적장애 분류(1992년 이전)
● 경도(mild)
- IQ 지수 : 50 ~ 70
- 내용 : 교육가능급
● 중등도(moderate)
- IQ 지수 : 35 ~ 49
- 내용 : 훈련가능급
● 중도(severe)
- IQ 지수 : 20 ~ 34
- 내용 : 완전보호급
● 최중도(profound)
- IQ 지수 : 20 이하
- 내용 : 완전보호급
(2) 한국특수교육학회의 지적장애 분류
● 경도
- IQ 점수 범위 : 55 ~ 70
- IQ 분류 표준편차 : -2SD
- 적응행동의 제한 범위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
● 중등도
- IQ 점수 범위 : 35 ~ 54
- IQ 분류 표준편차 : -3SD
- 적응행동의 제한 범위 :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
● 중도
- IQ 점수 범위 : 20 ~ 34
- IQ 분류 표준편차 : -4SD
- 적응행동의 제한 범위 : 모든 영역
● 최중도
- IQ 점수 범위 : 20 미만
- IQ 분류 표준편차 : -5SD
- 적응행동의 제한 범위 : 모든 영역
2) 지원의 강도에 따른 분류
(1) 간헐적 지원(intermittent support)
: 필요할 때마다 제공되는 지원으로 간헐적 성격의 특성을 지닌다. 개인이 항상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생의 전환기에 단기간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실직, 심각한 의료적 위기)에 지원한다. 간헐적 지원은 고강도 또는 저강도로 제공될 수 있다.
(2) 제한적 지원(limited support)
: 일정한 시간에 걸쳐 일관적으로 그러나 간헐적이 아닌 시간 제한적이다.(시간 제한적인 고용훈련, 학교에서 성인기로 전환 지원 등)
(3) 확장적 지원(extensive support)
: 항구성을 지닌 고강도 지원으로 전반적 환경에 걸쳐 제공되며, 잠재적으로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격의 특성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확장적 또는 시간 제한적 지원에서보다 더 많은 직원(staff)이 필요하며, 개인에게는 더 개입적을 수 있는 지원을 포함한다.
'특수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지적장애 특성 및 통합교육과 특수교육 (1) | 2024.02.14 |
---|---|
10. 지적장애의 원인 및 판별 (2) | 2024.02.14 |
8. 청각장애 아동의 교육 (1) | 2024.02.08 |
7. 청각장애아동의 판별 및 청각장애아동의 특성 (1) | 2024.02.02 |
6. 청각장애의 정의 및 분류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