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13. 자폐성장애의 판별 및 특징

by 솔개일곱2 2024. 2. 16.

자폐성장애의 판별

자폐성장애의 판별은 여러 가지 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사회적 상호작용에 결함을 보이고, 의사소통에 질적인 결함을 보이며, 제한적되고 감각적 이상행동을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1) 자폐성장애의 판별 및 진단기준(「장애인복지법」)

  ● 제1급 

 : ICD-10의 진단 기준에 따른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지능지수가 70 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척도 점수(GAS)가 20 이하인 사람

 

● 제2급

 :  ICD-10의 진단 기준에 따른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로 정상 발달의 단계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지능지수가 70 이하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척도 점수(GAS)가 21~40점인 사람

 

● 제3급

 : 제2급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지능지수가 71 이상이며, 기능 및 능력장애로 인하여 전반적 발달척도 점수(GAS)가 41~50점인 사람

 

 ※ 자폐성장애의 능력장애 측정 기준

  (1) 불러도 대답이 없다.

  (2) 독립적으로 적절한 식사가 불가능하다.

  (3)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4) 또래와 놀지 못한다.

  (5)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

  (6) 표현 언어가 없다.

  (7) 자기방어를 하지 못한다.

  (8) 충동적인 행동을 보인다.

  (9) 자해적인 행동을 한다.

  (10) 한 가지 장난감에 집착한다.

  (11) 기구의 위치를 옮기면 불안해한다.

  (12) 같은 길로만 가려고 한다.

  (13) TV에서 광고만 보려고 한다.

  (14) 밖으로 나가면 그냥 마음대로 가 버린다.

  (15) 머리 크기가 작다.

  (16) 눈을 맞추지 않는다.

  (17) 손을 비틀거나 씻는 것 같은 행동을 반복한다.

  (18) 모든 물건을 입에 집어넣는다.

  (19) 생후 1~2년 정도까지는 정상적으로 발달한다.

  (20) 혼자 말은 하는데 대화는 하지 못한다.

 

2) 자폐성장애 선별 체크리스트

: 다음의 19가지 항목 중 7가지 이상의 항목에 해당 되고 그 행동들이 지속적이며, 아동의 생활연령에 맞지 않는다면 자폐성장애 특성의 위험군으로 선별된다.

 

 (1) 정상적인 교육 방법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2) 위험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3) 흔히 물체를 돌리는 버릇이 있다. 

 (4) 얼러 주어도 반응이 없다.

 (5) 눈을 맞출 수가 없다.

 (6) 쌀쌀맞은 태도를 가지고 있다.

 (7) 엉뚱한 상황에서 소리 내어 웃거나 킥킥댄다.

 (8) 고통에도 반응이 없다.

 (9) 예를 들어 '가겠니?'라고 물으면 '가 겠 니 ?'라고 대답한다.

 (10) 이상한 놀이에 집중한다.

 (11) 공을 차지 않고 그냥 가지고 논다.

 (12) 다른 아동과 잘 지내지 못한다.

 (13) 대소근육운동의 기능이 골고루 발달되어 있지 않다.

 (14) 일상 습관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한다.

 (15) 신체적으로 과다 혹은 과소활동을 보인다.

 (16) 별 이유없이 성질을 부리거나 운다.

 (17) 마치 귀머거리처럼 행동한다.

 (18) 몸짓으로 요구를 나타낸다.

 (19) 물체에 불필요한 집착을 한다.

 

자폐성장애의 특성

자폐성장애의 특성은 대표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 의사소통의 질적인 결함, 그리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특이한 상동적 행동, 관심 및 활동을 보인다.

 

1)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성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구어적 행동(예: 눈 맞춤, 표정, 몸짓)의 사용에 어려움을 보인다.

  ● 연령에 적합한 또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 즐거움, 관심, 성취 등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려고 하지 않는다.

  ●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성이 결여된다.

  ● 발달 수준에 적절한 가상놀이와 사회적 모방 놀이가 결여된다.

 

2) 의사소통의 특성

  ● 말을 하지 못하거나(함묵증) 언어발달이 지체된다.

  ●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 대체적인 수단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다.

  ● 말을 하는 경우에도 사회적 의사소통의 기능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형태로 언어를 사용하거나 특이한 언어를 사용한다.

 

3) 상동적인 반복 행동과 특정 관심

  ● 제한된 영역에 지나치게 강도 높은 독특한 관심을 보인다.

  ● 특정 비기능적인 일과나 의례적인 행동에 융통성이 없이 잡착한다.

  ● 사물의 특정 부분에 대하여 지속적인 집착을 보인다.

  ● 자해 행동, 공격 행동, 텐트럼(지나친 떼쓰기) 등의 문제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 감각자극에 대한 처리 및 반응이 독특하다.

 

4) 인지적 특성

  ● 대부분 자폐성장애 아동은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며, 새로운 학습, 기술을 습득하는 데 비장애(일반)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 지적 능력은 심한 지적장애 수준에서 우수한 수준까지 다양하다.

  ● 약 10% 정도는 서번트증후군(savant syndrome)으로 특정 영역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보인다.

 

5) 감각적 특성

  ● 입력된 자극이 다른 유형의 감각자극으로 혼동을 유발한다.

     → 청각적인 소리가 시각 자극인 색깔로 처리되는 반응

  ● 자극 둔감 또는 무반응

      바로 옆에서 엄청 많은 접시가 깨져도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자신이 흥미를 끄는 음악 소리나 사탕 껍질 벗기는 아주 작은 소리에는 민감하게 반응

  ● 다른 두 유형의 청각 자극이 서로 간섭과 방해를 유발하고 청각적 정보를 왜곡한다.

      요리를 맛보는 동안 믹서기나 가스레인지 후드 등의 소음을 내는 주방기구는 꺼두어야 하고, 어떤 소리의 특정 주파수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

  ● 촉각이나 통각에 의한 행동 방해와 집착

      한복에 받쳐 입는 속치마의 꺼칠한 촉감에 안절부절못하거나, 심하게 다쳐도 울지 않거나, 이상한 물건을 만지는 데 집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