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2. 통합교육

by 솔개일곱2 2024. 1. 14.

  특수교육대상자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 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합교육은 법률에 규정한 특별한 교육적 서비스가 필요한 아동이 비장애 아동과 함께 교육 현장에서 동등하게 교육받을 교육권을 보장해 주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통합교육의 정의>

1) 법적 정의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 학교에서 장애유형·장애정도에 따라 차별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한다.

 

2) 학문적 정의

: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는 물론 모든 학생을 교육할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된 환경에서 차별받지 않고 개개인의 독특하고 다양한 개별적 요구에 적합한 최상의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교육의 효과>

1) 통합교육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 주는 효과

● 비장애학생과 정규과정의 학교생활을 통하여 경험의 폭이 넓어진다.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여 독립심과 자립심 형성에 긍정적 결과를 가진다.

학교생활의 교육과정에 따라 규칙적인 행동과 올바른 생활 습관이 형성된다.

잠재되어 있는 능력 및 잔존 능력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달하는 기회를 갖는다.

비장애 학생의 행동을 보고 모방함으로써 발달의 촉진과 관찰학습을 할 수 있다.

 

2) 통합교육이 비장애 학생에게 주는 효과

특수교육 대상 학생과 함께하는 체험을 통해서 성인으로부터 얻은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되는 기회가 된다.

자신과 다른 친구의 존재를 알게 되며, 나와는 다름을 자연스럽게 알게 된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가르쳐 주면서 자신의 지식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배려해 주고 도와주는 마음으로 감정이입 등의 사회적인 행동이 다양하게 향상된다.

 

3) 통합교육이 교사에게 주는 효과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을 경험함으로써 교사로서 좀 더 관심을 가지며, 여러 영역의 장애에 대하여 학습하는 기회가 되고 교사 자신의 발전 기회가 된다.

모든 학급 학생에 대한 관찰력이 생기고 지도 교수 방법의 능력이 향상된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조가 강화되며, 이를 통하여 학생에 대한 특성을 잘 이해하고 특수교육 서비스의 교육적 지식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장애를 극복하고 성장하는 학생에게 감동하며, 교사로서 긍지와 보람을 느낀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1) 교사 간 공동협력 형태

협력적 교환

: 교사 경력에 상관없이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자유롭게 교환한다.

 

협력적 모델링

: 경험이 많은 교사가 특정 교수 실제에 대해 동료 교사에게 시범 교수를 보인다.

 

협력적 코칭

: 경험이 많은 교사가 동료 교사에게 새로운 교수전략이나 실제를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한다.

 

협력적 감독

: 경험이 많은 교사가 동료 교사의 교수 실제에 대해 평가적 피드백(evaluative feedback)을 주어 교수가 향상되도록 돕는다.

 

협력적 조언

: 경험이 적은 교사가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경험이 많은 교사가 조언을 하여 문제해결을 돕는다.

 

2)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

: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서로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구조를 만들어야 하며, 교사는 정보나 기술을 교환하는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일치된 의견으로 결론에 합의하는 기술을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연습함으로써 교사 간 협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성공적인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통합교육 서비스는 교사 간의 의사소통과 지원, 서비스의 질에 달려 있다.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

1) 시각장애

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급, 학교, 지역사회 환경을 탐색하고 학습하도록 돕는다.

촉감을 발달시키고 청력을 이용하는 활동을 함께하여 정보 획득 능력을 발달시킨다.

또래 학생과 미소를 짓거나 시건을 마주 보는 법 등을 학습하도록 돕는다.

가족과 협력하여 방향감각과 이동 능력을 발달시켜 가정과 학교 상황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학급에서 비장애 학생과 정상적인 목소리로 대화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2) 청각장애

교사는 교실의 자리 배정에 관심을 가지고 청각장애 학생의 잔존청력이 남아 있는 귀 쪽 방향으로 자를 배정한다.

청각장애 학생과 대화할 때 말의 속도에 주의하면서 천천히 말하며, 입 모양을 정확히 보여준다.

청각장애 학생이 비장애 학생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도록 분단 학습활동을 구성한다.

학교와 가정이 연계하여 일관성 있게 청작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킨다.

보청기를 착용하고 학급에서 적절히 활동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신을 가지도록 지도한다.

 

3) 지정장애 및 발달지체

각 학생의 학습 능력에 먼저 초점을 맞추고, 학습의 일반화와 전이를 촉진시킨다.

과제의 구성 요소를 명확히 제시하고, 학습 분위기를 산만하게 하는 외부 자극을 줄인다.

단순한 과제로 시작하여 학습 기술을 습득해 감에 따라 점차 복잡한 과제로 넘어간다.

다양한 시청각 자료의 구체적인 제시를 통하여 학습의 정확한 개념의 이해를 도와준다.

비장애 학생과 적절한 행동으로 상호작용할 때, 과제를 정확히 수행할 때는 보상을 준다.

 

4)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를 지는 학생이 활동할 수 있는 교실 환경을 조성한다.

교실 학습활동의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또래 관계 증진에 유익함을 얻도록 지원한다.

부모와 상담을 통해서 아동의 신체적·건강적 특성을 파악하고 요구를 충분히 이해한다.

학교 활동 및 교실 활동에서 자발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학습 동기와 능력을 제공한다.

 

5) 정서·행동장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학생이 방과 후에 다니는 전문기관 등과 협력한다.

명확한 일정표와 규칙을 제공하고 학급 내 모든 학생의 긍정적인 결과를 확보한다.

모든 학생에게 학급 규칙의 사회적 행동을 교실 내에 비치된 목록표로 작성하여 피드백을 준다.

학생의 학교생활과 교육의 성공적 지원을 위해 관련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6) 자폐성장애

자폐성장애 학생의 고유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의 의사소통 의도를 파악한다.

학생의 기능 수준에 맞게 지도하고, 직접적인 문장을 이용하여 되도록 언어적 부담을 줄인다.

명확한 신체적 단서 또는 시각적 모델링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하도록 한다.

자폐성장애 학생은 시각적인 능력이 좋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할 때 고려하여 제시한다.

 

7) 학습장애

학생이 반복된 학습의 실패로 인한 무력감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격려와 지지를 한다.

학습 능력의 현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내용과 수준의 학습 제시로 성취감을 제공한다.

학습 제시 요점과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예시를 많이 들어주고 강화한다.

새로운 자료나 기능을 학습할 때는 평소보다 더 많은 연습을 한다.

 

8) 의사소통장애

조음장애: 학급 발표 상황에서 조음장애 학생이 발음에 오류를 보이더라도 이해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유창성장애: 말을 더듬는 장면에서 재촉하거나 다시 말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기다려 준다.

음성장애: 음성 오남용으로 발생하므로 가정과 연계하여 음성 휴식을 제공한다.

언어장애: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적인 어려움을 지니므로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도한다.